제7장 소리의 첨가
제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소리를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삯일[상닐] 맨-입[맨닙] 꽃-잎[꼰닙]
내복-약[내:봉냑] 한-여름[한녀름] 남존-여비[남존녀비]
신-여성[신녀성] 색-연필[생년필] 직행-열차[지캥녈차]
늑막-염[능망념] 콩-엿[콩녇] 담-요[담:뇨]
눈-요기[눈뇨기] 영업-용[영엄뇽] 식용-유[시굥뉴]
국민-윤리[궁민뉼리] 밤-윳[밤:뉻]
다만, 다음과 같은 말들은 ‘ㄴ’ 소리를 첨가하여 발음하되, 표기대로 발음할 수 있다.
이죽-이죽[이중니죽/이주기죽]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
검열[검:녈/거:멸] 욜랑-욜랑[욜랑뇰랑/욜랑욜랑]
금융[금늉/그뮹]
[붙임 1]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 소리는 [ㄹ]로 발음한다.
들-일[들:릴] 솔-잎[솔립] 설-익다[설릭따]
물-약[물략] 불-여우[불려우] 서울-역[서울력]
물-엿[물렫] 휘발-유[휘발류] 유들-유들[유들류들]
[붙임 2]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한 일[한닐] 옷 입다[온닙따] 서른 여섯[서른녀섣]
3연대[삼년대] 먹은 엿[머근녇] 할 일[할릴]
잘 입다[잘립따] 스물 여섯[스물려섣] 1연대[일련대]
먹을 엿[머글렫]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에서는 ‘ㄴ(ㄹ)’ 소리를 첨가하여 발음하지 않는다.
6·25[유기오] 3·1절[사밀쩔] 송별연[송:벼련]
등용-문[등용문]
제30항 사이시옷이 붙은 단어는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1. ‘ㄱ, ㄷ, ㅂ, ㅅ, ㅈ’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사이시옷이 올 때는 이들 자음만을 된소리로 발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냇가[내:까/낻까] 샛길[새:낄/샏:낄] 빨랫돌[빨래똘/빨랟똘]
콧등[코뜽/콛뜽] 깃살[기빨/긷빨] 대팻밥[대:패빱/대:팯빱]
햇살[해쌀/핻쌀] 뱃속[배쏙/밷쏙] 뱃전[배쩐/밷쩐]
고갯짓[고개찓/고갣찓]
2. 사이시옷 뒤에 ‘ㄴ, ㅁ’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으로 발음한다.
콧날[콛날→콘날] 아랫니[아랟니→아랜니]
툇마루[퇻:마루→퇸:마루] 뱃머리[밷머리→밴머리]
3. 사이시옷 뒤에 ‘이’ 소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ㅥ]으로 발음한다.
베갯잇[베갣닏→베갠닏] 깻잎[깯닙→깬닙]
나뭇잎[나묻닙→나문닙] 도리깻열[도리깯녈→도리깬녈]
뒷윷[뒫:뉻→뒨: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