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무                       -이양하-

  이해와 감상

1964년에 나온 수필집 <나무>의 표제작이다. 이양하의 이양하다움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그의 고독한 생활, 소박한 자세, 자연과 친구에 대한 사랑, 감사하는 마음들이 나무 위로 잘 겹쳐 있다.뿐만 아니라 나무에는 그가 인간에 대해 소망하는 인간성의 모든 조건들이 드러난다. 나무가 만족할 줄 안다는 것은 욕망에 사로잡혀 허덕이는 인간의 본성과 대비되는 것이요, 나무가 고독하다는 것은 인간 또한 나무처럼 의젓하게 그것을 견딜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며 달과 바람과 새가 나무의 친구라는 것은 주변사람들에게 두루 너그러워지리라는 경구인 것이다.

나무가 지닌 속성을 인간에 비교한 교훈적 내용의 수필이다 . 나무는 안분지족의 현인, 고독의 철인, 훌륭한 견인주의자로 비유되고 있으며 , 지은이는 자신의 인생관을 나무의 덕에 비유하면서 나무가 되고 싶다는 바람을 나타낸다. 대상에 대한 깊고 애정 어린 성찰을 담담하고 관조적인 어투로 형상화시킨, 이양하 수필의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나무를 의인화하고 빼어난 대조법이 구사되어 읽는 맛이 경쾌하기 짝없는 이 글은 현대인의 가벼운 삶을 통찰하고 질책하는 의미도 들어있다. 아무로부터 바람직한 인간성을 유추해 놓은 것도 재미있지만 구름이나 새 또한 그런 경향의 인간형들을 상징케 한 것 같다.

나뭇가지가 위로 뻗힌 것을 하늘을 향해 묵도하고 찬송하는 것으로 읽은 것도 시인다운 눈이다. 끝 구절에 <무슨 나무가 될지는 가리지 않으련다>라고 살짝 방기해놓은 맛 또한 입에 웃음을 띠게 하는 재미요 여유로 느껴진다.

  요점 정리

성격 : 경수필, 교훈적 수필 → 예찬적, 교훈적, 관조적, 서정적

특성

* 나무를 의인화하여 바람직한 삶의 자세를 이끌어 냄.

* 나무와 생태와 모습을 인간의 삶의 자세와 연결시킴.

주제 : 나무가 지닌 덕(나무에서 배우는 삶의 자세)

출전 : [나무](1964)

  생각해 볼 문제

◆ 이양하 수필의 특징

이양하의 수필은 지성적이며 철학적 깊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상에 대한 깊고 애정 어린 성찰을 담담한 어투로 형상화한다. 그래서 감정, 주장, 논리를 앞세우지 않고, 고백적 태도를 드러내는 관조적인 특징을 보인다. 또한 작품마다 범속한 생활 주변의 소재에서 자연과 인생의 깊이를 통찰하려는 작자의 의도가 배어 있다.

◆ 수필의 문체와 문체의 종류

'수필가 램은 찰스 램이면 되는 것이다.', '찰스 램은 찰스 램 외의 다른 수필가가 될 필요가 없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이 시사하는 바처럼 수필만큼 작가의 개성과 인격이 그대로 드러나는 글은 없다. 그런데 작가의 개성과 인격은 제재의 선택과 인생관의 표명을 통해서도 드러나지만 문체도 큰 역할을 한다. 특히 자기 고백적 성격이 강한 수필의 경우에 문체에는 글의 제재와 주제가 다 담지 못하는 작가의 특성이 솔직하고 섬세하게 배어 나온다. 문체는 작가마다 다르게 표현되는데, 이러한 경우의 문체를 개성적 문체라고 한다. 그리고 이미 있는 말로 문체를 분류하기도 하는데, 그러한 문체를 유형적 문체라고 한다. 유형적 문체는 흔히 간결체/만연체, 건조체/화려체, 강건체/우유체와 같이 이항 대립하는 것이 있고, 국문체/국한문 혼용체, 묘사체/설명체/논증체/서사체 등과 같이 나열식으로 설정되는 것도 있다.

  작품 읽기

나무는 덕(德)을 지녔다. 나무는 주어진 분수에 만족할 줄을 안다.(안분지족) 나무는 태어난 것을 탓하지 아니하고, 왜 여기 놓이고 저기 놓이지 않았는가를 말하지 아니한다. 등성이에 서면 햇살이 따사로울까, 골짜기에 내려서면 물이 좋을까 하여, 새로운 자리를 엿보는 일이 없다. 물과 흙과 태양의 아들로, 물과 흙과 태양이 주는 대로 받고, 후박(厚薄)과 불만족(不滿足)을 말하지 아니한다. 이웃 친구의 처지에 눈떠 보는 일도 없다.(남의 처지를 부러워한 적이 없다) 소나무는 진달래를 내려다보되 깔보는 일이 없고, 진달래는 소나무를 우러러보되 부러워하는 일이 없다.(나무는 다른 존재의 훌륭함이나 실상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 뿐, 그것을 부러워하거나 얕잡아 보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성질은 그렇지 못한 인간의 태도와 비교해 볼 수 있다.) 소나무대로 스스로 족하고, 진달래는 진달래대로 스스로 족하다.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는 나무

나무는 고독(孤獨)하다. 나무는 모든 고독을 안다. 안개에 잠긴 아침의 고독을 알고, 구름에 덮인 저녁의 고독을 안다.(부슬비 내리는 가을 저녁의 고독도 알고, 함박눈 펄펄 나리는 겨울 아침의 고독도 안다. 나무는 파리 옴쭉 않는 한여름 대낮의 고독도 알고, 별 얼고 돌 우는 동짓달 한밤의 고독도 안다.(글쓴이가 오랫동안 나무를 진지하게 관찰하였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나무의 고독은 글쓴이 자신이 겪은 고독과 연관이 있다.) 그러면서도 나무는 어디까지든지 고독에 견디고, 고독을 이기고, 고독을 즐긴다.

*고독을 견디고 즐기는 나무

나무에 아주 친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달이 있고, 바람이 있고, 새가 있다. 달은 때를 어기지 아니하고 찾고, 고독한 여름밤을 같이 지내고 가는, 의리 있고 다정한 친구다. 웃을 뿐 말이 없으나, 이심전심(以心傳心) 의사(意思)가 잘 소통되고 아주 비위에 맞는 친구다.

바람은 달과 달라 아주 변덕 많고 수다스럽고 믿지 못할 친구다. 그야말로 바람장이 친구나, 자기 마음 내키는 때 찾아 올 뿐 아니라, 어떤 때에는 쏘삭쏘삭 알랑거리고, 어떤 때에는 난데없이 휘갈기고, 또 어떤 때에는 공연히 뒤틀려 우악스럽게 남의 팔다리에 생채기를 내놓고 달아난다. 새 역시 바람같이 믿지 못할 친구다. 자기 마음 내키는 때 찾아오고, 자기 마음 내키는 때 달아난다. 그러나 가다 믿고 와 둥지를 틀고, 지쳤을 때 찾아와 쉬며 푸념하는 것이 귀엽다. 그리고 가다 흥겨워 노래할 때, 노래 들을 수 있는 것이 또한 기쁨이 되지 아니할 수 없다. 나무는 이 모든 것을 잘 가릴 줄 안다. 그러나 좋은 친구라 하여 달만을 반기고, 믿지 못할 친구라 하여 새와 바람을 물리치는 일이 없다.(나무가 여러 친구들의 좋은 모습과 좋지 않은 모습들을 잘 분간하면서도, 친구들을 차별하지 않고 잘 대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나무의 훌륭한 성품과, 친구에게 집착하지 않는 성격을 나타낸다.) 그리고 달을 유달리 후대(厚待)하고 새와 바람은 박대(薄待)하는 일도 없다. 달은 달대로, 새는 새대로, 바람은 바람대로 다 같이 친구로 대한다. 그리고 친구가 오면 다행하게 생각하고 오지 않는다고 하여 불행해 하는 법이 없다.

*자신의 운명이 뜻대로 되지 않아도 받아들이는 나무

같은 나무, 이웃 나무가 가장 놓은 친구가 되는 것은 두말할 것이 없다. 나무는 서로 속속들이 이해하고 진심으로 동정하고 공감한다. 서로 마주 보기만 해도 기쁘고, 일생을 이웃하고 살아도 싫증나지 않는 참다운 친구다.

그러나 나무는 친구끼리 서로 즐긴다느니 보다는, 제각기 하늘이 준 힘을 다하여 널리 가지를 펴고, 아름다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데 더 힘을 쓴다. 그리고 하늘을 우러러 항상 감사하고 찬송하고 묵도(默禱)하는 것으로 일삼는다. 그러기에 나무는 언제나 하늘을 향하여, 손을 쳐들고 있다. 온갖 나뭇잎이 우거진 숲을 찾는 사람이, 거룩한 전당에 들어선 것처럼, 엄숙(嚴肅)하고 경건(敬虔)한 마음으로 절로 옷깃을 여미고, 우렁찬 찬가에 귀를 기울이게 되는 이유(理由)도 여기 있다.

나무에 하나 더 원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천명(天命)을 다한 뒤에 하늘 뜻대로 다시 흙과 물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은 가다 장난삼아 칼로 제 이름을 새겨보고, 흔히 자기 소용(所用) 닿는 대로 가지를 쳐 가고 송두리째 베어 가곤 한다. 나무는 그대로 원망(怨望)하지 않는다. 새긴 이름은 도로 그들의 원대로 키워지고, 베어간 재목이 혹 자기를 해칠 도끼 자루가 되고 톱 손잡이가 된다 하더라도, 이렇다 하는 법이 없다.

나무는 훌륭한 견인주의자(堅忍主意者)요, 고독의 철인(哲人)이요, 안분지족(安分知足)의 현인(賢人)이다. 불교의 소위 윤회설(輪廻說)이 참말이라면, 나는 죽어서 나무가 되고 싶다.(글쓴이는 나무의 생태와 속성을 서술하면서 자신이 바라는 삶의 모습을 성찰하고 있다. 인간의 모습과 비교되는 나무의 속성을 들어 나무의 덕을 본받아야겠다는 결론을 이끌어 내고 있는 것이다.)

'무슨 나무가 될까?'  이미 나무를 뜻하였으니, 진달래가 될까 소나무가 될까는 가리지 않으련다.(나무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이미 나무의 덕을 본받는다는 뜻이므로, 나무 중에 더 나은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욕심을 부리지는 않겠다는 말이다.)

*죽어서 나무가 되고 싶은 글쓴이

    * 후박(厚薄) : 후함과 박함.

    * 생채기 : 할퀴어 생긴 작은 상처.

    * 후대(厚待) : 후하게 대접함.

    * 묵도(黙禱) : 묵묵히 기도함.

    * 견인주의 : 금욕주의